Representational State Transfer

 

REST는 리소스, 메세지, 메소드 3가지 요소로 구성된다.

 

기본적인 REST 구조

 

REST의 원리를 따르는 시스템을 RESTful이라고 부른다.

'내 맘대로 개념 정리' 카테고리의 다른 글

Spring Boot란?  (0) 2019.08.07
Polymer란?  (0) 2019.08.07
RPA란?  (0) 2019.08.06
ANSIBLE(앤서블)이란?  (0) 2019.08.06

스프링부트는 단독 실행되는, 실행하기만 하면 되는 상용화 가능한 수준의, 스프링 기반 애플리케이션을 쉽게 만들어낼 수 있다. 최소한의 설정으로 스프링 플랫폼과 서드파티 라이브러리들을 사용할 수 있다.

 

Spring과의 차이점

- 간편한 설정(dependency, configuration)

- 편리한 의존성 관리, 자동 권장 버전 관리

- 내장 서버로 인해 간단한 배포 서버 구축

- Spring Security, Data JPA 등의 다른 스프링 프레임워크 요소를 쉽게 사용

'내 맘대로 개념 정리' 카테고리의 다른 글

REST API  (0) 2019.08.23
Polymer란?  (0) 2019.08.07
RPA란?  (0) 2019.08.06
ANSIBLE(앤서블)이란?  (0) 2019.08.06

Polymer는 웹 구성 요소를 사용하여 웹 응용 프로그램을 작성하기위한 오픈 소스 JavaScript 라이브러리다. 

 

대표적인 웹컴포넌트 라이브러리

 

DOM을 템플릿화하여 재활용함을 목적으로 한다.

'내 맘대로 개념 정리' 카테고리의 다른 글

REST API  (0) 2019.08.23
Spring Boot란?  (0) 2019.08.07
RPA란?  (0) 2019.08.06
ANSIBLE(앤서블)이란?  (0) 2019.08.06

 

RPA는 Robotic Process Automation의 약자로 단순하고 반복적인 일을 로봇에게 할당하기 위한 사무적 "매크로"이다.

주로 표준화 되어있고 명확한 규칙에 기반을 둔 업무에 적용되어 문서양식에 데이터를 입력하거나 이메일의 첨부 파일을 여는 등 사람의 행동을 모방하여 다른 업무들을 수행하는 것을 말한다.

 

국내에서는 금융권 업무 중심으로 RPA의 도입이 시작되었고 주 52시간 근무제가 시행되며 업무의 효율성을 위해 

제조, 물류, 공공 등 전 산업 영역에서 RPA에 대한 관심이 확산되고있다.

 

RPA는 사용자의 컴퓨터 화면상의 작업을 모방하기 위해 애플리케이션 사용 동작을 녹화하고 자동화한다. 그리고 사용자와 같은 처리방식으로 애플리케이션의 유저 인터페이스를 작동한다. 기존 IT 인프라의 변화 없이 사용중인 애플리케이션을 기반으로 작동하여 특정 기술에 종속되지 않고 어떠한 애플리케이션과도 함께 사용할 수 있다.

 

민감한 데이터에 대한 접근을 방지하고 정보의 인적 오류를 예방하는 등 문제를 최소화할 수 있다.

반복적인 업무처리를 RPA가 대신하기 때문에 직원들은 고부가가치 활동에 집중할 수 있다.

무인 사무처리 능력으로 인해 연중무휴로 신속하게 작업 수행이 가능하다.

업무량이 많아질때 유동적으로 변화하는 추가적인 인력이 불필요해지면서, 효율적으로 인건비를 사용할 수 있다.

'내 맘대로 개념 정리' 카테고리의 다른 글

REST API  (0) 2019.08.23
Spring Boot란?  (0) 2019.08.07
Polymer란?  (0) 2019.08.07
ANSIBLE(앤서블)이란?  (0) 2019.08.06


앤서블이란 서버환경 배포를 자동화시키는 "배포 자동화 도구"이다.

redhat에서 제공하고 있으며, python으로 기술된 오픈소스 프로젝트이다.

 

 

특징

 

- 쉽다.

YAML이라는 언어(데이터 표현 양식)을 사용하여 playbook으로 배포 자동화를 관리한다. 가독성이 좋아서 개발자가

아니여도 사용하기 쉽다.

 

- agent가 없어도 된다.

앤서블을 실행할 서버 외에 관리할 노드에 설치하지 않아도 된다. ssh를 통해 노드에 직접적인 메시지를 쏠 수 있다.

(노드에 관리하기 위한 agent가 설치되어 있어야 한다면 신경쓸점이 늘어난다.)

 

agent형과 angetless형의 장단점이 존재한다.

agent형은 중앙 서버가 실행 대상 머신의 접근 정보를 몰라도 되기 때문에 보안에 강하다.

반면 앤서블은 ssh통신 계정정보를 필요로 하기 때문에 보안에 취약하다.

필요에 따라 계정 정보를 따로 관리하는 방식을 선택할 수 있다.

 

'내 맘대로 개념 정리' 카테고리의 다른 글

REST API  (0) 2019.08.23
Spring Boot란?  (0) 2019.08.07
Polymer란?  (0) 2019.08.07
RPA란?  (0) 2019.08.06

+ Recent posts